본문 바로가기

영어원서 읽기/이상한나라의 앨리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7_2장 ③ 눈물의 바다

★ 마법의 부채

As she said this she looked down at her hands, and was surprised to see that she had put on one of the Rabbit's little white kid gloves while she was talking. 'How CAN I have done that?' she thought. 'I must be growing small again.' She got up and went to the table to measure herself by it, and found that, as nearly as she could guess, she was now about two feet high, and was going on shrinking rapidly: she soon found out that the cause of this was the fan she was holding, and she dropped it hastily, just in time to avoid shrinking away altogether.

이렇게 말하면서 손을 내려봤는데 자신이 토끼의 작은 가죽장갑 한 쪽을 낀 것을 보고 놀랐다. ‘어떻게 장갑을 낄 수 있었던 거지?’ 그녀는 생각했다. ‘틀림없이 내가 다시 작아지고 있어.’ 그녀는 일어나서 테이블로 가서 테이블로 자신의 키를 재봤고 자신이 추측한 대로 지금 자신이 키가 2피트(60.96cm) 정도라는 것과 자신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곧 이 일의 원인이 자신이 들고 있는 부채 때문이라는 것을 알아냈고 완전히 줄어들지 않도록 제때 급히 부채를 내던졌다.

 

이전 시퀀스에서 앨리스는 커진 자신의 모습을 자각하면서 자신이 에이더일지 메이블일지 헷갈려 하며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서 고민했다. 메이블의 부모가 온다 해도 여기 있겠다고 부정하던 앨리스가 결국 혼자 있기 싫다고 울었는데, 자신의 손을 무심코 낼다보다 토끼 장갑을 끼고 있는 것을 발견한 상황이다. 몸이 커져서 토끼가 떨구고 간 장갑이 맞지 않을 거라고 생각하던 앨리스는 자신이 다시 작아졌음을 알아차렸다. 그 이유는 부채 때문이라는 것도 알게 된 동시에 완전히 줄어들기 전에 부채를 내던진다.

 

put on은 ‘~을 입다, 쓰다, 끼다, 걸치다’라는 뜻, measure는 ‘치수, 길이 등을 재다, 측정하다’라는 뜻, shrink는 ‘줄어들다’라는 뜻, find out은 ‘~임을 알아내다, 발견하다’라는 뜻, just in time는 ‘마침, 겨우 시간에 맞춰’라는 뜻이다.

 

 

As she said this

    she looked down at her hands, 

    and was surprised to see that she had put on one of the Rabbit's little white kid gloves while she was talking.

    → 주어 she +동사 looked down + and + 동사 was surprised to

    → that절의 주어 she + 과거완료 had put on

 

She got up and went to the table to measure herself by it, and found that, as nearly as she could guess, she was now about two feet high, and was going on shrinking rapidly

→ 주어 she + 동사 got up + and + 동사 went to + and + 동사 found + that절

 

 

★ 자동소환 마법?

'That WAS a narrow escape!' said Alice, a good deal frightened at the sudden change, but very glad to find herself still in existence; 'and now for the garden!' and she ran with all speed back to the little door: but, alas! the little door was shut again, and the little golden key was lying on the glass table as before, 'and things are worse than ever,' thought the poor child, 'for I never was so small as this before, never! And I declare it's too bad, that it is!'

아슬아슬하게 피했어!’라고 앨리스는 말하면서, 갑작스러운 변화에 엄청 놀랐지만 자신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아주 기뻤다. ‘그럼 이제는 정원으로 가자!’ 그녀는 전속력으로 작은 문까지 달려갔다. 그런데 이럴 수가! 작은 문은 다시 닫혀 있었고 작은 황금열쇠는 전처럼 유리 테이블에 놓여 있었다. ‘전보다 상황이 더 안 좋아’ 불쌍한 아이는 생각했다. ‘전에는 결코 이처럼 작았던 적이 없기 때문이야! 결코 없었어! 상황이 정말 너무 나쁘다고 분명히 말하겠어. 정말 너무 나빠!’

 

몸이 작아지면 모든 일이 해결될 거라고 생각한 앨리스지만, 역시나 세상 일은 그렇게 쉽지 않은 법이다. 분명 열쇠로 열었던 문이지만 다시 닫혀 있고 열쇠는 다시 작아진 앨리스가 닿을 수 없는 유리 테이블 위에 올려져 있다. 무생물이니 귀소본능이 있는 것도 아닐 테고, 자동소환 마술이라도 걸려 있나. 열쇠를 어디 뒀는지 자주 잊어버리는 사람이라면 꽤 유용한 마법일 것 같다. 언젠가 기술로도 구현되려나.

 

① 'That WAS a narrow escape!' said Alice,

     a good deal frightened at the sudden change, but very glad to find herself still in existence;

    'and now for the garden!' and she ran with all speed back to the little door:

     → 분사구문 frightened + but + glad

    → 세미콜론 뒤에는 앞의 문장과 긴밀하게 연결된 문장이 나온다. 다시 작아진 것을 알아차린 앨리스의 행동이 그려진다. 앨리스는 정원으로 가고 싶어서 바로 문으로 달려가고 있다. 

 

 

★ 바다에 와 있나?

As she said these words her foot slipped, and in another moment, splash! she was up to her chin in salt water. Her first idea was that she had somehow fallen into the sea, 'and in that case I can go back by railway,' she said to herself. (Alice had been to the seaside once in her life, and had come to the general conclusion, that wherever you go to on the English coast you find a number of bathing machines in the sea, some children digging in the sand with wooden spades, then a row of lodging houses, and behind them a railway station.) However, she soon made out that she was in the pool of tears which she had wept when she was nine feet high.

이 말을 했을 때 그녀의 발이 미끄러졌고 다음 순간 첨벙! 소리가 났다. 그녀는 턱까지 잠기는 소금물 속에 있었다. 처음 든 생각은 어떻게 된 것인지 모르겠지만 바다에 빠졌다는 것이었다. ‘그렇다면 기차를 타고 돌아갈 수 있어’라고 혼잣말을 했다. (앨리스는 살면서 바닷가에 한번 가봤는데, 어느 영국 해변을 가든 이동식 탈의실이 많이 있고 아이들이 나무 삽을 모래를 파고 있고 숙박업체가 일렬로 늘어서 있고 그 뒤에는 기차역이 있다는 일반적인 결론은 내렸다.) 하지만 곧 자신이 9인치 크기였을 때 울어서 생긴 눈물 웅덩이 안에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 단락에서 앨리스가 쓰여진 시기의 19세기말 영국 해변에 대해 엿볼 수 있다. 해변가에 숙박업체가 있고 기차역이 있으니 바다로 휴가 가기 편했을 것 같다. bathing machine은 뭔지 몰라서 찾아봤는데 바퀴 달린 이동식 탈의실이었다. 물 속에서 바로 들어가 옷을 갈아입으면 편할 것 같지만 굳이 물 속으로 작은 오두막 같은 시설을 끌고 가야 할까 싶기도 하는데, 샤워시설을 갖추기 힘들어서 그럴 것 같기도 하고 실제로 이용하면 현대에도 여전히 쓸모가 있을지는 모르겠다.

 

slip은 ‘미끄러지다’라는 뜻, splash는 '첨벙 하는 소리'라는 뜻의 명사, ‘물이나 흙탕물을 튀기다, 튀겨 끼얹다, 물 속에서 첨벙거리다’라는 뜻의 동사다. seaside는 ‘해변, 바닷가’라는 뜻, come to conclusion는 ‘결론에 도달하다’라는 뜻,  bathing machine은 ‘18세기에서 20세기 초까지 인기 있는 장치로, 바퀴가 달려 있어 그 안에서 옷을 갈아입고 바로 물가까지 이동할 수 있는 이동식 탈의 시설’이다. dig는 ‘파다, 파내다’라는 뜻, a row of는 ‘일렬로’라는 뜻, make out은 ‘~을 이해하다, 알다’라는 뜻이다.

 

 

Alice had been to the seaside once in her life, and had come to the general conclusion, that wherever you go to on  the English coast you find a number of bathing machines in the sea, some children digging in the sand with wooden spades, then a row of lodging houses, and behind them a railway station.

     →주어 Alice + 과거완료 had been + and + 과거완료 had come + that절

    → that절의 주어 you + 동사 find + 목적어

② However, she soon made out that she was in the pool of tears which she had wept when she was nine feet high.

→ 주어 she + 동사 made out + that절

 

 

★ 나 벌받는 중?

'I wish I hadn't cried so much!' said Alice, as she swam about, trying to find her way out. 'I shall be punished for it now, I suppose, by being drowned in my own tears! That WILL be a queer thing, to be sure! However, everything is queer to-day.'

그렇게 많이 울지 않았으면 좋았을 텐데!’ 앨리스는 말하면서, 수영하며 나갈 방법을 찾으려고 했다. ‘울어서 지금 벌 받는 것 같아. 내가 흘린 눈물에 빠져 죽는 걸로 말야! 정말 기묘한 일이 되겠지. 확실해! 하지만 오늘은 모든 일이 다 기묘한 걸.’

 

find way out는 ‘출구를 찾다’라는 뜻, queer는 ‘기묘한, 이상한’이라는 뜻이다.

 

I wish I hadn't cried so much!

     → I wish + 과거완료, 앨리스는 좀 전에 울었던 일을 후회하며 울지 않았다면 좋았을 거라고 생각하는 중이다.

 

I shall be punished for it now, I suppose, by being drowned in my own tears!

     → 주어 I + 동사 shall be punished + 전치사 by(~에 의하여, ~의 결과로써)

    → 전치사 by+-ing는'~에 의하여, ~의 결과로써'라는 뜻으로 어떤 일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말한다. 즉, 자신이 흘린 눈물에 빠져 죽는 것으로 벌을 받을 것이라는 뜻이 된다. 

 

 

잘못했어. 울지 않는 건데 그렇게나 많이 울다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