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9/18 - [영어원서 읽기/이상한나라의 앨리스]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10_코커스 경주를 하면 물기가 마를 거야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10_코커스 경주를 하면 물기가 마를 거야
★ 생쥐는 정복자 윌리엄 이야기를 계속 하지만... The Mouse did not notice this question, but hurriedly went on, '"—found it advisable to go with Edgar Atheling to meet William and offer him the cro..
absee.tistory.com
★코커스 경주를 시작하다
First it marked out a race-course, in a sort of circle, ('the exact shape doesn't matter,' it said,) and then all the party were placed along the course, here and there. There was no 'One, two, three, and away,' but they began running when they liked, and left off when they liked, so that it was not easy to know when the race was over. However, when they had been running half an hour or so, and were quite dry again, the Dodo suddenly called out 'The race is over!' and they all crowded round it, panting, and asking, 'But who has won?'
우선 도도새는 경주 코스를 일종의 원을 그려 표시했다 (“정확한 형태는 중요하지 않아요”, 라고 이야기했다) 그리고 나서 무리의 전원이 코스를 따라 여기저기에 배치되었다. “하나, 둘, 셋, 출발” 같은 구호는 없었지만 그들은 내킬 때 뛰기 시작했고 내킬 때 그만뒀다. 그래서 언제 경주가 끝났는지 알기 쉽지 않았다. 하지만 한 30분쯤 뛰고 있었고 물기가 다시 꽤 말랐을 때, 도도새가 갑자기 “경주 끝!”이라고 소리쳤고 그들은 모두 도도새 주위에 모여서 숨을 헐떡이며 물었다. “그런데 누가 이긴 거야?”
mark는 ‘표시하다’라는 뜻, a sort of는 ‘일종의’이라는 뜻, place는 ‘놓다, 배치하다’라는 뜻, leave off는 ‘그만두다, 중단하다’라는 뜻, pant는 ‘숨을 헐떡이다’라는 뜻이다.
★ 모두 다 이긴 경주?
This question the Dodo could not answer without a great deal of thought, and it sat for a long time with one finger pressed upon its forehead (the position in which you usually see Shakespeare, in the pictures of him), while the rest waited in silence. At last the Dodo said, 'EVERYBODY has won, and all must have prizes.'
도도새는 이 질문에 생각을 많이 하지 않고는 대답할 수 없었고 한 손가락을 이마(보통 셰익스피어 그림 앞에서 그를 보는 위치)를 누르고 한동안 앉아 있었다. 그동안 나머지 인원들을 조용히 기다렸다. 마침내 도도새가 말했다. “전원이 이겼고 전원이 상을 받아야 합니다.”
forehead는 '이마'인데, 그게 셰익스피어 그림 앞에서 그를 보는 위치가 되는지는 모르겠다. 그림이 걸린 위치에 따라 보는 사람의 키에 따라 달라지지 않나.
The Dodo could not answer this question without a great deal of thought.
→ 주어 The Dodo + 동사(부정) could not answer + 목적어 this question + 전치사구 without(~없이, ~하지 않고)
★ 모두 다 이겼으면 상은 누가 주지?
'But who is to give the prizes?' quite a chorus of voices asked.
'Why, SHE, of course,' said the Dodo, pointing to Alice with one finger; and the whole party at once crowded round her, calling out in a confused way, 'Prizes! Prizes!'
“그런데 상을 누가 주지?” 목소리들이 합창으로 물었다.
“그거야 물론 그녀지” 도도새가 앨리스를 한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말했다. 그러자 전원이 즉시 그녀 주위로 몰려들어서 혼란스럽게 외쳤다. “상! 상!”
앞으로도 웃긴 장면이 나오겠지만, 진짜 어이없어서 웃긴 부분이다. 이렇게 골치아픈 문제를 떠넘기다니. 머리 좋은 도도새. 이건 폭탄돌리기 게임 같은데, 느닷없이 폭탄을 받은 앨리스는 어찌 하나.
★ 앨리스, 사탕을 상으로 나눠주다
Alice had no idea what to do, and in despair she put her hand in her pocket, and pulled out a box of comfits, (luckily the salt water had not got into it), and handed them round as prizes. There was exactly one a-piece all round.
앨리스는 어찌 해야 할지 몰라서 절망스러워하다 주머니에 손을 넣었고 사탕 상자를 하나 꺼냈다. (다행히 바닷물이 그 안에 스며들지 않았다) 그리고 그 사탕을 상으로 동물들에게 건넸다. 모두에게 딱 하나씩 돌아갔다.
comfit는 ‘호두, 씨앗, 과일이 든 사탕’이라는 뜻이다.
경주를 제안한 사람은 도도새인데, 전원이 이겼다고 결론을 내리더니 상도 자신이 주는 것이 아니라 앨리스에게 떠넘긴다. 아마도 폭탄돌리기 게임을 처음 하는 것 같은 앨리스는 순발력이 떨어져서 어버버 하다가 결국 자신의 주머니에서 찾아 사탕을 주고 만다.
★ 앨리스, 골무를 내밀다
'But she must have a prize herself, you know,' said the Mouse.
'Of course,' the Dodo replied very gravely. 'What else have you got in your pocket?' he went on, turning to Alice.
'Only a thimble,' said Alice sadly.
'Hand it over here,' said the Dodo.
“하지만 그녀도 자신의 상을 받아야 했어.” 생쥐가 말했다.
“물론입니다.” 도도새가 아주 엄숙하게 말했다. “주머니에 또 뭐가 있습니까?” 그는 앨리스 쪽으로 몸을 돌려 계속 말했다.
“골무밖에 없어.” 앨리스가 슬프게 말했다.
“그걸 여기 넘겨 주세요.” 도도새가 말했다.
thimble은 ‘골무’라는 뜻이다. 그런데 요즘에는 골무를 흔하게 볼 수 있지 않아서 초등학생들이 골무에 대해서 아나 모르겠다. 골무라는 단어와 그 쓰임이 되게 낯설 것 같다.
생쥐가 상 못 받은 앨리스는 챙겨 주기는 하지만 자신이 나서서 상황을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서, 결국 도도새가 방법을 생각해내는데 듣도보도 못한 창조적인 방법을 쓴다.
★ 엉터리 수상식
Then they all crowded round her once more, while the Dodo solemnly presented the thimble, saying 'We beg your acceptance of this elegant thimble'; and, when it had finished this short speech, they all cheered.
그 후에 그들은 모두 그녀 주위에 다시 모였는데, 도도새가 진지하게 골무를 주면서 “이 우아한 골무를 받아주시기 바라는 바입니다.” 도도새가 이 짧은 연설을 끝내자 그들은 모두 환호했다.
solemnly는 ‘진지하게’라는 뜻, present는 ‘물건을 증정하다, 바치다, 주다’라는 뜻이다.
★ 앨리스, 자신이 준 골무를 수여받다
Alice thought the whole thing very absurd, but they all looked so grave that she did not dare to laugh; and, as she could not think of anything to say, she simply bowed, and took the thimble, looking as solemn as she could.
앨리스는 이 모든 일이 아주 부조리하다고 생각했지만 그들 모두 아주 엄숙해서 차마 웃을 수 없었다. 할 말이 생각나지 않아서 그녀는 그냥 허리를 굽혀서 절했고, 자신이 할 수 있는 엄숙한 표정을 지으면서 그 골무를 받았다.
bow는 ‘(허리를 굽혀) 절하다, 고개를 숙이다’라는 뜻, solemn은 ‘말이나 행동 등이 엄숙한’이라는 뜻이다.
코스도 불분명하고 출발선도 제대로 지키지 않은 채 뛰고 싶을 때 뛰고 그만두고 싶으면 그만두는 경기를 하는데다 전원이 이겼으니 경주를 한 이유가 없어진다. (이들의 목적은 단지 물기를 말리기 위해서 경주를 한 것이라면 인정) 루이스 캐롤은 미국의 대선을 이렇다고 말하고 싶었나 보다. 왕이 통치하는 영국에서 사는 사람으로서 미국 대선 과정을 보면서 얼마나 쓸데없는 짓을 한다고 생각했을지... 지금도 그렇지만 이때만 해도 계급 의식이 강했던 나라의 기준에서 아무나 나와서 대통령을 한다고 하니 얼마나 비웃고 싶었을까. The Great Chain of Being(존재의 대사슬)에 의하면, 신으로부터 시작하여 천사, 악마, 별, 달, 왕, 왕자, 귀족, 평민, 동물, 가축, 나무 등등으로 내려가는 위계가 있는 세상인데 어찌 감히 그 위계를 거스르고 평민들이 평민을 왕(대통령)으로 뽑나, 등등의 이야기를 하고 싶었던 게 아닐까.(뇌피셜임!)
그렇지만, 더 말도 안 되는 건 앨리스에게 사탕을 받아 상으로 주는 것과, 앨리스에게 골무를 받아서 다시 앨리스에게 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경주에 참가하기 전에 협의가 된 사항도 아니고, 경주를 하자고 제안한 사람이 마련해야 할 상을 참가자에게서 받아내고, 모두 다 평등하게 상을 받기 위해서라는 명목 아래 앨리스가 갖고 있던 골무를 다시 앨리스에게 수여하는 장면이 더 아이러니하다. 더구나 젠체하는 말투와 앨리스가 허리를 굽혀서 절하는 모습에서 (물론 좀 거리가 있지만) 왕이나 귀족이 그 아래 사람에게 수여하는 모습이 연상되는데, 그 과정에 이르기까지 벌어지는 일들이 더 부조리해서 미국 대선을 조롱하기 위한 목적이 아래 파트에도 적용되는지는 모르겠다. 물론 요즘 트럼프 대선 토론을 보면 비웃어 주고 싶긴 하다만.
'영어원서 읽기 > 이상한나라의 앨리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13_3장 ⑤ 소 잃고 외양간 못 고친 앨리스 (0) | 2020.10.29 |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12_3장 ④ tale vs. tail (0) | 2020.10.15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10_3장 ② 코커스 경주를 하면 물기가 마를 거야 (0) | 2020.09.18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9_3장 ① 물기를 dry하는 방법? (0) | 2020.09.09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8_2장 ④ 네가 나라면? (0) | 2020.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