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CULES AND THE WAGONER
★ 마차, 진창에 빠지다
A Farmer was driving his wagon along a miry country road after a heavy rain. The horses could hardly drag the load through the deep mud, and at last came to a standstill when one of the wheels sank to the hub in a rut.
한 농부가 폭우가 내린 후에 진창이 된 시골 도로를 따라 마차를 몰고 있었다. 말들은 깊은 진창 속에서 짐을 거의 끌 수 없었고, 한쪽 바퀴가 바퀴자국에 박혀서 바퀴 중심까지 가라앉아 결국 멈췄다.
자동차가 진창에 빠져서 계속 바퀴만 헛도는 것을 묘사할 때도 stuck in a rut이라고 하는 것 같다. 찾아보니 How do you get a car out of a rut? 류의 howto 제목의 글이 꽤 있다.
wagon은 ‘짐마차, (보통 2필 이상의 말이 끄는) 4륜마차’라는 뜻, miry는 ‘진창 같은, 수렁 같은, 진흙투성이의’라는 뜻, hub는 ‘바퀴의 중심’이라는 뜻, at last는 ‘마침내, 기어이, 결국’이라는 뜻, standstill은 ‘멈춤, 정지’라는 뜻, sink-sunk-sunk는 '가라앉다, 빠지다'라는 뜻의 동사, rut는 ‘바퀴자국’이라는 뜻이다.
The horses could hardly drag the load through the deep mud,
and at last came to a standstill + when one of the wheels sank to the hub in a rut.
→ 주어 the horses + 동사 could drag + and + came + 시간의 접속사 when
★ 헤라클레스, 도와주세요!
The farmer climbed down from his seat and stood beside the wagon looking at it but without making the least effort to get it out of the rut. All he did was to curse his bad luck and call loudly on Hercules to come to his aid. Then, it is said, Hercules really did appear, saying:
농부는 자리에서 내려와서 마차 옆에 서서 바퀴를 바퀴자국에서 빼내려는 초소한의 노력도 하지 않은 채 쳐다보고 있었다. 그가 한 것이라고는 불운을 저주하며 헤라클레스에게 와서 도와달라고 큰 소리로 외치는 것이었다. 그때 헤라클레스가 실제로 나타나서 말했다고 한다.
이솝이야기에 헤라클레스가 나오다니, 좀 놀랐다. 뭔가 초차연적인 존재여서 매치되지 않는 측면도 있고.
이솝도 ‘it is said’라고 삽입구를 넣어서 전해들은 이야기라고 명시하고 있다.
the least는 ‘크기, 양, 정도 등이 가장 적은, 작은’이라는 뜻, curse는 '~을 저주하다, ~에 악담하다'라는 뜻, aid는 ‘도움’이라는 뜻이다.
All he did was to curse his bad luck and call loudly on Hercules to come to his aid.
→ A is to부정사 구문
→ 주어 All he did + 동사 was + to부정사(curse+and+ call)
★ 아무 노력도 안 하면서 도움을 요청하다니?!
"Put your shoulder to the wheel, man, and urge on your horses. Do you think you can move the wagon by simply looking at it and whining about it? Hercules will not help unless you make some effort to help yourself."
“이봐, 어깨를 바퀴에 대고, 말을 재촉해 봐. 마차를 그냥 쳐다보며 우는 소리를 하는 것으로 마차가 움직일 수 있다고 생각하나? 네가 스스로 돕기 위해 노력하지 않는다면 나는 돕지 않겠다.”
urge는 ‘~을 재촉하다, 몰아대다’라는 뜻, whine about은 ‘~에 대해 우는 소리를 하다’라는 뜻, unless는 ‘~하지 않는 한’이라는 뜻, make effort는 ‘노력하다’라는 뜻이다.
★ 결국 농부는 스스로를 구했다
And when the farmer put his shoulder to the wheel and urged on the horses, the wagon moved very readily, and soon the Farmer was riding along in great content and with a good lesson learned.
농부가 자기 어깨를 바퀴에 대고 말들을 재촉하자 마차는 아주 손쉽게 움직였고, 이내 농부는 아주 만족스럽게 말을 몰았고, 좋은 교훈도 얻었다.
readily는 ‘손쉽게, 순조롭게’라는 뜻, in content는 ‘만족하여’라는 뜻이다.
교훈:
Self help is the best help.
(스스로 돕는 것이 최고의 도움이다.)
Heaven helps those who help themselves.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
'영어원서 읽기 > 이솝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솝이야기 #12_도시 쥐와 시골 쥐 (0) | 2020.11.05 |
---|---|
이솝이야기 #11_독수리와 갈까마귀 (0) | 2020.10.20 |
이솝이야기 #9_늑대와 지붕 위의 어린 양 (0) | 2020.09.21 |
이솝이야기 #8_나무와 여행자 (0) | 2020.09.13 |
이솝이야기 #7_늑대와 두루미 (0) | 2020.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