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ey of a thousand miles begins with a single step.”
― Lao Tzu
“천 리 길도 한 걸음부터.”
노자의 말로, 거리의 단위로 mile을 쓰는 나라답게 thousand miles라고 번역되어 있다.
“The journey(of a thousand miles) begins with a single step.”를 간단하게 줄이면 '여행은 시작된다'로 요약할 수 있다.
스티븐 기즈의 《습관의 재발견(Mini Habits: Smaller Habits, Bigger Results)》에서는 더도 덜도 말고 '딱 한 번만' 하라고 말한다. 30분 동안 운동할 생각 말고 팔굽혀펴기를 딱 한 번만 하는 것을 권한다. 처음부터 에베레스트 등산할 생각 말라는 것이 핵심이다.
“I am a brain, Watson. The rest of me is a mere appendix.”
― Arthur Conan Doyle, The Adventure of the Mazarin Stone
“왓슨, 나는 뇌일세. 나머지는 그저 쓸모없는 살덩이에 불과하지.”
아서 코난 도일이 홈즈의 말을 빌어 《마자린의 보석》에서 했던 말. 아무리 생각해봐도 자신을 뇌라고 단언할 수 있는 인물은 셜록 홈즈 말고는 없을 것 같다.
appendix는 '부록이나 추가물'이라는 뜻과 '맹장'이라는 뜻이 있다. 본품은 아니라는 말.
“The rest of me is a mere appendix.”는 뇌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단순한 부록에 불과하다라는 뜻이 된다.
어떤 행동을 오랜 시간에 걸쳐 반복하면 뇌는 이 과정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배우는데, 에너지가 절약되기 때문. 이것이 바로 습관이 되는 것이고, 하지만 우리의 뇌는 느리고 게으르도록 진화했기 때문에 습관을 익히기 위해서는 살살 구슬릴 필요가 있다고 한다.
“The one thing that separates winners from the losers, is, winners take action.”
― Tony Robbins
“승자와 패자를 구분하는 단 한 가지는 승자는 실행한다는 점이다.”
앤서니 로빈스라고도 하고 토니 로빈스라고 하는 작가이자 동기부여 전문가의 말.
“The one thing that separates winners from the losers, is, winners take action.”는 'A는 B다'라는 뜻이다. 물론 A가 좀 길어서 헷갈리지만. 승자와 패자를 구분하는 단 한 가지는 승자는 행동을 한다는 것이다. take action은 '행동에 옮기다'라는 뜻.
토니 로빈스가 한 말이 아주 많은데, 비슷한 또 다른 명언이 있다.
“Winners take imperfect action while losers are still perfecting the plan.”(승자는 불완전하더라도 행동을 하는 반면, 패자는 여전히 계획을 완벽하게 하려고 하고 있다.)
완벽한 계획을 만들려고 애쓰는 것보다는 행동을 함으로써 그 계획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보완해 나가는 것이 더 낫다는 의미이다. 계획만 있으면 뭐 하나 실행을 해야지, 라는 것도 같은 의미가 될 것 같다.
“We are what we repeatedly do. Excellence then is not an act but a habit.”
― Will Durant
“우리가 반복적으로 하는 행동이 바로 우리가 누구인지 말해준다. 그러므로 중요한 것은 행위가 아니라 습관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말로 많이 알려져 있는데, 실제로는 철학자 윌 듀런트의 말이라고 한다. 윌 듀런트가 자신의 저서인 《철학 이야기(The Story of Philosophy)≫의 <윤리학과 행복의 본성(Ethics and the Nature of Happiness)>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을 “... we are what we repeatedly do. Excellence, then is not an act but a habit.”이라고 요약했다고 한다.
“We are what we repeatedly do.”도 A는 B의 구문(물론 B가 길어서 문제이기는 하지만). 우리는 '우리가 반복해서 하는 행동'이라는 의미가 된다. “Excellence then is not an act but a habit.”라는 문장도 마찬가지 구문으로, Excellence(우수한 것, 탁월하다고 하는 것)행위가 아니라 습관을 통해서 얻어진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Victorious warriors win first and then go to war, while defeated warriors go to war first and then seek to win.”
― Sun Tzu, The Art of War and Six Sigma
“승리하는 군대는 먼저 승리할 기반을 갖춰 놓은 후에 전쟁을 벌인다. 반면, 패하는 군대는 일단 전쟁을 일으키고 이길 방도를 찾는다.”
그 유명한 《손자병법≫에 나오는 말. 원문에는 어떻게 되어 있는지 모르겠지만, 영어 번역 문장에는 warrior(전사)라고 되어 있다. win first and then go to war와 go to war first and then seek to win이 대조된다.
이 책에서는 새로운 행동을 습관으로 만드는 것은 마치 아무런 훈련 없이 준비도 없이 역도 시합에 나가는 것과 같아서, 곧장 좋은 성적을 낼 리 만무하다는 것. 그래서 거창하게 큰 목표를 세워서 습관을 형성하지 말라는 것. 보잘것없어 보일지라도 작은 목표를 세워야 습관이 형성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작은 목표와 작은 습관이야말로 승리할 기반이 된다는 의미 같다.
“If you don't execute your ideas, they die.”
― Roger von Oech
“당신의 아이디어를 실행하지 않으면, 그 아이디어는 죽어 버린다.”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Creative Think'의 설립자이자 사장인 로저 본 외흐의 말. 참고로 이 회사는 1977년에 설립된 이 회사는 세미나, 상담, 회의, 제품 등을 통해서 창조력을 자극하는 일을 전문으로 하고 있다고 한다.
execute는 '실행하다, 수행하다'라는 뜻으로, 당신이 아무리 아이디어를 생각해내더라도 실행하지 않으면 아이디어 자체가 없어진다는 것. 다시 말해, 아이디어가 있으면 뭐 하나 실행하지 않으면 말짱 꽝이다.
“Know the rules well, so you can break them effectively.”
― Dalai Lama XIV
“규칙을 잘 알아둬라. 그래야 효과적으로 규칙을 깰 수 있다.”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달라이 라마가 바로 14대 달라이 라마.
"일단 뭔가를 완전히 익히고 나면 규칙을 몰라도 규칙을 지키지 않아도 해낼 수 있다. 관건은 그 규칙 뒤에 숨겨진 원칙들을 이해하는 것이다."라는 의미지만, 《습관의 재발견》에서는 한숨이 나올 정도로 작고 소소한 규칙을 세우기 때문에 절대 부정행위를 하지 말라고 한다. 그래야 계속 할 수 있으니까.
"목표를 크게 잡으면 일단 보기에는 좋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실천이다. 거창한 목표 아래 보잘것없는 결과만 얻는 수많은 사람들 중 하나로 남지 말고, 보잘것없는 목표 아래 거창한 결과를 얻는 단 한 명의 사람이 되도록 하자."(에필로그 전 페이지 마지막 문단에서)
'Sentences > 영어 명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의 심리학 中에서_영어 명언 ② (0) | 2021.03.24 |
---|---|
돈의 심리학 中에서_영어 명언 ① (2) | 2021.03.22 |
바빌론 부자들의 돈 버는 지혜 中_영어 명언 (0) | 2020.12.31 |
워렌 버핏 & 피터 린치_영어 명언 (0) | 2020.12.05 |
일 잘하는 사람은 단순하게 합니다 中_영어 명언 (0) | 2020.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