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bility to do what you want, when you want, with who you want,
for as long as you want, is priceless.
It is the highest dividend money pays.”
— Moran Housel
(당신이 원하는 것을, 당신이 원할 때, 당신이 원하는 사람과, 당신이 원하는 한 할 수 있는 능력의 가치는 이루 다 말할 수 없다.
이것이 돈이 주는 가장 큰 배당금이다.- 모건 하우절)
문장이 길지만, 좀 줄여보면 "The ability to do ~ is priceless."가 된다. '~할 수 있는 능력은 값을 매길 수 없다'라는 뜻.
priceless는 '값을 매길 수 없는, 대단히 귀중한'이라는 뜻의 형용사. dividend는 '배당금'이라는 뜻.
The ability to do what you want, when you want, with who you want, for as long as you want, is priceless.
그 능력이란, 당신이 원하는 것(what you want) + 당신이 원할 때(when you want) + 당신이 원하는 사람과(with who you want) + 당신이 원하는 한(for as long as you want) 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본문에 이 비슷한 문장이 하나 있다. “Controlling your time is the highest dividend money pays.(당신의 시간을 당신 뜻대로 쓸 수 있다는 것이 돈이 주는 가장 큰 배당금이다.)”
“There is no faster way to feel rich than to spend lots of money on really nice things.
But the way to be rich is to spend money you have, and to not spend money you don't have.
It's really that simple.”
— Bill Mann
(부자처럼 느끼는 가장 빠른 방법은 정말 근사한 것들에 많은 돈을 쓰는 것이다.
그러나 부자가 되는 길은 가진 돈을 쓰고, 가지지 않은 돈은 쓰지 않는 것이다. 아주 간단하다. - 투자가 빌 만)
There is no faster way to feel rich than to spend lots of money on really nice things.
→ There is no faster way(부유함을 느끼는 데 더 빠른 방법은 없다)
→ → 앞에 비교급이 나왔으니 than 이하에는 비교 대상이 와야 한다. to spend lots of money on really nice things(정말 근사한 것들에 많은 돈을 쓰는 것)
“Things that have never happened before happen all the time.”
— Scott Sagan
(한 번도 일어난 적이 없는 일은 언제나 일어난다. - 스탠퍼드 대학교 스콧 세이건 교수)
이 말 보고 떠오른 생각은 바로 코로나19. 누구든 이런 바이스러가 전세계에 퍼질 줄 생각이나 했을까.
Things that have never happened before / happen all the time.
→ 줄이면, Things happen all the time(일은 언제나 일어난다).
→ → Things가 무엇인지는 that 이하에 나와 있다. '전에는 결코 일어난 적이 없는(have never happened before)' 일.
“For reasons I have never understood, people like to hear that the world is going to hell.”
— Deirdre McCloskey
(내가 결코 이해할 수 없는 이유들로 사람들은 세상이 지옥에 떨어질 거라는 이야기를 듣길 좋아한다.
- 경제사학자 디르드리 매클로스키)
그 이유는 "비관주의는 제품 홍보처럼 들리고 비관주의는 나를 도와주려는 말처럼 들리기" 때문.
For reasons I have never understood, people like to hear that the world is going to hell.
→ 이유들 때문에, 사람들은 듣기를 좋아한다.
→ → (내가 결코 이해하지 못하는) 이유들 때문에, 사람들은 (세상이 지옥에 떨어질 것이다)라는 이야기를 듣기 좋아한다.
“I am not an optimist. I am a very serious possibilist.”
— Hans Rosling
(나는 낙관주의자가 아니다. 나는 아주 진지하게 가능성을 따지는 사람이다. - 통계학자 한스 로슬링)
optimist는 '낙관주의자'라는 뜻. possibilist의 사전상 정의는 '현실적 개혁주의자'.
본문에서는 낙관주의는 중간에 차질이 있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좋은 결과가 나올 확률이 크다는 믿음이라고 설명하면서 한스 로슬링의 말을 인용하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에게 대부분의 경우 낙관주의가 가장 합리적인 베팅이라고.
“I have observed that not the man who hopes when others despair,
but the man who despairs when others hope, is admired by a large class of persons as a sage.”
— John Stuart Mill
(내가 관찰한 바로는, 남들이 절망할 때 희망을 갖는 인물이 아니라 남들이 희망에 찰 때 절망하는 인물이 많은 사람들로부터 현자로 추앙받는다. - 존 스튜어트 밀)
실제로 인간이 진보해온 결과를 보면 낙관주의가 비관주의보다 더 많은 관심을 받을 것 같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말.
① I have observed that
→ 나는 ~한 것을 관찰했다.
② not the man who hopes when others despair, but the man who despairs when others hope, is admired
→ not A but B + 동사 is admired
→ → who hopes when others despair : 남들이 절망할 때 희망을 갖는 사람
→ → who despairs when others hope : 남들이 희망할 때 절망하는 사람
③ by a large class of persons as a sage
→ by +명사구
→ → a large class of persons(많은 계층의 사람들) + as sage(현자)
“Hindsight, the ability to explain the past, gives us the illusion that the world is understandable.
It gives us the illusion that the world makes sense, even when it doesn’t make sense.
That’s a big deal in producing mistakes in many fields.”
— Daniel Kahneman
(지나고 보면 과거를 설명할 수 있다는 사실은 마치 세상이 이해할 만한 것이라는 착각을 일으킨다.
우리는 세상이 이해되지 않을 때조차 이해가 된다고 착각한다.
이 때문에 많은 분야에서 실수가 생기니 큰일이다. – 대니얼 카너먼)
≪생각에 관한 생각≫으로 유명한 행동경제학자 대니얼 카너먼의 말로, 이것이 사람들이 과거를 이해하기 위해 스스로에게 들려주는 이야기라고 한다. 우리는 복잡한 세상을 이해할 수 있기 바라기 때문에 사각지대라고 할 수 있는 구멍들을 채워줄 이야기를 스스로에게 들려주는 것.
hindsight는 ‘일이 다 벌어진 뒤에 사정을 다 알게 됨, 뒤늦은 깨달음’이라는 뜻, illusion은 ‘오해, 착각’이라는 뜻, make sense는 ‘이해가 되다, 말이 되다’라는 뜻, big deal은 ‘대단한 것, 큰일’이라는 뜻.
Hindsight, the ability to explain the past, gives us the illusion that the world is understandable.
→ 주어 Hindsight + 동사 gives + 간접목적어 us + 직접목적어 the illusion
→ → the world is understandable: 세상은 이해할 수 있다
“Risk is what’s left over when you think you’ve thought of everything.”
— Carl Richards
(리스크란 내가 모든 경우의 수를 다 생각했다고 여길 때 남은 것이다. - 칼 리처즈)
결국 리스크란 내가 알지 못하는 것이라는 의미인 것 같다.
① Risk is what’s left over .
→ A is B의 문장. 리스크 = 남은 것
② when you think you’ve thought of everything
→ 시간의 접속사 when + 주어 you + 동사 think
“We need to believe we live in a predictable, controllable world, so we turn to authoritative-sounding people who promise to satisfy that need.”
— Philip Tetlock
(우리는 내가 예측 가능하고 통제 가능한 세상에 살고 있다는 믿음이 필요하다.
그래서 그 필요를 충족시켜주겠다고 약속하는, 권위 있게 들리는 사람들에게 의지한다. - 심리학자 필립 테틀록)
예측에 관한 수요가 어마어마한 이유. 통제할 수 있다는 착각이 불확실하다는 현실보다 오히려 설득력 있기 때문. 그래서 결과를 통제할 수 있다는 스토리에 집학하게 된다고 한다.
① We need to believe we live in a predictable, controllable world
→ 주어 We + 동사 need to
→ → believe (that) we live in + 예측 가능하고 통제 가능한 세상에(a predictable, controllable world)
② we turn to authoritative-sounding people who promise to satisfy that need
→ 주어 we + 동사 turn to
→ → turn to: 의지하다 / authoritative: 권위 있는
“True success is exiting some rat race to modulate one’s activities for peace of mind.”
— Nassim Taleb
(진정한 성공이란 극심한 경쟁의 쳇바퀴에서 빠져나와 자신의 활동을 마음의 평화에 맞추는 것이다. – 나심 탈레브)
사회적 압박에서 벗어나서 남들과 다르게 살 수 있다면 진정으로 성공한 사람일 것 같다. 다만 그게 쉽지 않은 일이라는 것뿐.
exit는 '나가다, 떠나다'라는 뜻의 동사, rat race는 '치열한 생존경쟁'이라는 뜻, modulate는 '조절하다'라는 뜻.
'Sentences > 영어 명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의 심리학 中에서_영어 명언 ① (2) | 2021.03.22 |
---|---|
습관의 재발견 中_ 영어 명언 (0) | 2021.02.16 |
바빌론 부자들의 돈 버는 지혜 中_영어 명언 (0) | 2020.12.31 |
워렌 버핏 & 피터 린치_영어 명언 (0) | 2020.12.05 |
일 잘하는 사람은 단순하게 합니다 中_영어 명언 (0) | 2020.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