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ntences/영어 명언

바빌론 부자들의 돈 버는 지혜 中_영어 명언

≪바빌론 부자들의 돈 버는 지혜≫는 1926년에 출판된 책으로, 거의 1세기 동안 개인 재정 조언(personal financial advice)의 고전으로 여겨지고 있다. 저자 조지 사무엘 클래이슨(George Samuel Clason)은 고대 도시 바빌론의 우화를 바탕으로 재테크에 대한 이야기를 쓰기 시작했는데 은행과 보험업계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모았고, 그중에서 가장 유명한 이야기를 묶어서 출간했다.

 

≪바빌론 부자들의 돈 버는 지혜≫에서는 여러 좋은 말이 나오는데, 그중에서도 '지은이의 말'과 '차례' 사이에 돈의 속성에 대한 명언이 다음과 같이 총 4개의 문장으로 수록되어 있다.

 

 

“Money is the medium by which earthly success is measured.”

(돈은 이 세상의 물질적 성공을 측정하는 수단이다.)

 

medium은 '수단, 방법'라는 뜻의 형용사로 앞 부분(Money is the medium)만 보면 '돈은 수단이다'라는 뜻이다. 이어서 무엇에 대한 수단인지가 나온다. 현재 이 세상의 성공(earthly success)을 측정하는 수단이 돈이라는 것. earthly는 '지구의'라는 뜻과 함께 천국에 대비해서 '이 세상의' 또는 '세속적인'이라는 뜻의 형용사로, earthly success는 현재 이 세상의 성공을 말한다.

 

 

 

“Money makes possible the enjoyment of the best the earth affords.”

(돈은 이 땅에서 최상의 즐거움을 누릴 수 있게 해준다.)

 

돈이 이 세상의 물질적 성공을 측정하는 수단이라는 말에 이어서, 더 현실적인 이야기가 나온다. 

직역하면, '돈은 이 땅, 이 지구가 제공하는 최상의 즐거움을 가능하게 해준다'는 말이다. 'make possible the enjoyment'는 '즐거움을 누릴 수 있게 해준다'는 의미이고, 'the earth affords'는 the best를 수식한다.

 

 

 

“Money is plentiful for those who understand the simple laws which govern its acquisition.”

(돈은 돈의 습득을 지배하는 간단한 법칙을 이해하는 사람들에게는 풍부하다.)

 

acquisition은 '습득, 획득, 입수'라는 뜻의 명사로, 전체 문장은 돈을 획득하는 것(어떻게 돈을 벌어야 하는지)을 지배하는 단순한 법칙을 이해하는 사람들에게는 돈이 풍부하다라는 뜻이 된다.

문장들이 전체적으로  복잡하게 쓰인 느낌이 든다.

 

Money is plentiful for those who understand the simple laws ~

      → 주어 Money + be동사 is + 보어 plentiful + 전치사 for + 전치사의 목적어 those

      → who 이하는 those를 수식하는 관계절

the simple laws which govern its acquisition

      → which 이하는 the simple laws를 수식하는 관계절

 

 

 

“Money is governed today by the same laws which controlled it when prosperous men thronged the streets of Babylon, six thousand years ago.”

(6천 년 전 부유한 사람들이 바빌론 거리를 가득 채웠던 때 돈을 지배했던 그 법칙에 의해 오늘날에도 돈이 지배되고 있다.)

 

prosperous는 '부유한, 번창하는'이라는 뜻, throng은 '모여들다, ~으로 가득차게 하다'라는 뜻으로 6천 년 전에는 부유한 사람들이 바빌론 거리에 모여들었던 그때, 바빌론 거리를 가득 채웠던 그때에 돈을 지배했던 똑같은 법칙이 오늘날도 적용된다는 의미다.

그 수많은 세월을 지나는 동안에도 돈의 법칙은 변하지 않았다는 것과, 한결같은 법칙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법칙을 이해했던 사람은 많지 않다는 면에서 약간 충격적이다. :)

 

 


얄팍한 지갑에서 벗어나기 위한 7가지 비결

(Seven Cures for a Lean Purse)

 

 

바빌론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인 아카드는 왕의 부탁으로 모든 백성에게 부자가 되는 법, 즉 돈버는 방법을 가르쳐 주는데, 얄팍한 지갑에서 벗어나는 7가지 방법을 이해한다면 당신의 지갑에도 돈이 넘쳐흐를 것이라고 말한다. 

 

The First Cure

Start Thy Purse to Fattening

(당신의 지갑을 살찌우기 시작하라)

 

thy는 고어로 '당신의, 그대여'라는 뜻으로 your로 보면 되고, fatten은 '살찌우다'라는 뜻이 동사로, 지갑을 살찌우는 일부터 시작하라고 충고한다. 지갑에 10개의 동전이 있으면 9개만 꺼내 쓴다면 지갑이 두툭해질 것이라는 말이다. 

 

 

 

The Second Cure

Control Thy Expenditures

(지출을 관리하라)

 

expenditure는 '지출, 비용'이라는 뜻으로, 누가 말하지 않아도 아는 법칙, 즉 씀씀이가 많다면 돈을 모을 수 없다는 것이다. 수입의 90퍼센트 안에서 예산을 짜서 소비하라는 충고를 하고 있다.

 

 

The Third Cure

Make Thy Gold Multiply

(당신의 금을 증가시켜라)

 

multiply는 '곱하다, 크게 증가시키다'라는 뜻으로, '금을 크게 증가시키라'는 것은 '투자를 하라'는 말이다.

아카드는 번 돈을 다 쓰지 말고 지출을 통제해서 모은 돈으로 투자를 하라고 충고한다.

 

 

 

 

The Fourth Cure

Guard Thy Treasures from Loss

(당신의 보물을 잃지 않도록 지켜라)

 

보물(treasure)을 지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안전한 곳에 보관해야 한다. 투자할 때도 원금을 안전하게 지켜줄 곳에 투자하라는 것이다.

 

 

 

The Fifth Cure

Make of Thy Dwelling A Profitable Investment

(당신의 집을 수익성 있는 투자로 만들어라)

 

dwelling은 '주택, 주거'라는 뜻, profitable은 '수익성 있는, 유익한'이라는 뜻, investment는 '투자, 투자의 대상'라는 뜻으로, 집을 수익성 있는 투자로 만들라는 것은 결국 집을 가져라라는 말이다.

자신과 가족을 안전하게 지켜줄 집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며, 자신의 집이 있으면 임대료에서 벗어날 수 있고 생활비가 줄어드는 등의 장점이 많다면서 집을 장만하라고 충고한다.

 

 

The Sixth Cure

Insure A Future Income

(미래 소득을 보장하라)

 

insure는 '보험에 들다, 가입하다'라는 뜻과 '위험 등에서 지키다, 보장하다(ensure)'라는 뜻이 있다. 더 이상 일하지 못할 때를 대비하여 미래의 수익을 찾아야 지갑을 두둑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e Seventh Cure

Increase Thy Ability to Earn

(당신의 돈 버는 능력을 높여라)

 

하루 아침에 부자가 되지 않듯이, 계속 배움으로써 차분히 자신의 능력을 키운다면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다는 마지막 충고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 충고 같다. 모든 충고가 다 중요하지만 결국 자신의 능력을 키워야 돈을 벌 수 있다는 말. 

 

 

* 영어 문장은 General Press에서 출간한 The Richest Man in Babylon에서 인용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