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ntences/영어 명언

돈의 심리학 中에서_영어 명언 ①

“A genius is the man who can do the average thing when everyone else around him is losing his mind.” 

— Napoleon

 

(천재는 주변 사람들이 미쳐 있을 때 평범한 것을 할 수 있는 사람이다. – 나폴레옹)

 

 

주변 사람들이 다 미쳐 날 뛸 때 그들과는 다르게 행동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그렇기에 천재라고 하겠지만. 주변 사람들의 눈에는 그 천재가 미쳤다고 보일 텐데. 그 상황에서도 자신이 원래 하던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은 정말 대단하겠다.

 

lose one’s mind는 ‘미치다’라는 뜻으로 영어로 풀이하면 ‘go insane’.

 

≪돈의 심리학(The Psychology of Money)≫ 번역서에는 안 나오는데, 원서에 보면 <들어가는 글> 앞에 나오는 명언 중 하나로, 부록으로 <나의 아이들에게 보내는 금융 조언>에 다시 언급된다.

 

돈 관리도 마찬가지라는 것. 시간이 지남에 따라 좋은 곳에서 끝을 맺기 위해서 엄청난 일을 하지 않아도 된다. 오랫동안 꾸준히 망치지만 않으면 된다. 파국을 불러오는 실수들(가장 큰 실수는 빚더미에 파묻히는 것)을 피하는 것이 그 어떤 근사한 재정 조언보다도 강력하다.

"Managing money is the same. You don’t have to do amazing things to end up in a good place over time, you just have to consistently not screw up for long periods of time. Avoiding catastrophic mistakes (the biggest of which is burying yourself in debt) is more powerful than any fancy financial tip." A father’s letter to his kid

 

 

“The world is full of obvious things which nobody by any chance ever observes.”

 — Sherlock Holmes

 

(세상은 지금까지 아무도 알아차리지 못한 명백한 것들로 가득 차 있다. - 셜록 홈즈)

 

 

재미있게도 셜록 홈즈의 이 문장은 윗 문장과 대치된다. 아니 평범한 일을 하라면서, 그 평범한 일이란 셜록 홈즈가 말하듯이 아무도 알아차리지 못한 명백한 것일 것 같은데 그걸 어찌 하라고? :) 

 

be full of는 ‘~로 가득 차다’라는 뜻, by any chance는 ‘혹시라도’라는 뜻, observe는 ‘보다, 알다, 알아채다’라는 뜻.

 

 

“History never repeats itself; man always does.” 

— Voltaire

 

(역사가 반복되는 것이 아니다. 사람이 반복하는 것이다. - 볼테르)

 

 

직역하면, '역사는 결코 반복하지 않는다. 사람이 항상 반복하는 것이다.'가 된다.

 

본문에서 저자는 심리학과 역사의 렌즈를 통햇 금융위기를 바라볼 때 더 잘 이해된다면서, 볼테르의 이 말은
돈에 대한 우리 행동에도 그대로 적용된다고 한다.

 

 

 

 

“Some lessons have to be experienced before they can be understood.”

— Michael Batnick 

 

(겪어봐야 이해할 수 있는 교훈이 있다. - 투자가 마이클 배트닉)

 

 

직역하면, '어떤 교훈들은 이해할 수 있기 전에 경험해봐야 한다.'

이와 비슷한 문장으로는,

Some things have to be experienced before we can truly know and understand.

(어떤 일들은 우리가 진정으로 알고 이해하기 전에 경험해봐야 한다.)

Many have to be experienced before they can be learned.

(많은 일들은 경험해봐야 배울 수 있다.)

 

 

 

“Nothing is as good or as bad as it seems.” 

— Scott Galloway 

 

(겉으로 보이는 것만큼 좋은 경우도, 나쁜 경우도 없다. - 뉴욕대학교의 스콧 갤러웨이 교수)

 

 

따로 따로 보면,

Nothing is as good as it seems.(어떤 것도 보이는 것만큼 좋지 않다) & Nothing is as bad as it seems.(어떤 것도 보이는 것만큼 나쁘지 않다)

 

이 말은 새옹지마 이야기에서, 노인 새옹이 할 법한 말 같다. 사건이 생길 때마다 “이 일이 복이 될지 누가 압니까?”라거나 “이게 화가 될지 누가 압니까?”, "“이게 복이 될지도 모르는 일이오.” 라는 말을 한마디로 정리하면 이 말이 될 것 같다.

 

 

 

 

“It is not necessarily the amount of snow that causes ice sheets but the fact that snow, 

however little, lasts.”

 — Gwen Schultz 

 

(얼음층을 유발하는 것은 반드시 눈의 양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아무리 적더라도 눈이 남아 있다는 사실 때문이다.

- 빙하학자 그웬 슐츠)

 

ice sheet는 ‘(육지를 덮고 있는) 빙상, 대륙 빙하’이라는 뜻의 단어로, 흔히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얼음층을 만드는 것은 눈의 양이 아니라 눈이 남아 있기 때문이라는 말. 어마어마한 결과를 가져오기 위해 반드시 어마어마한 힘이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것. 

 

'It is not necessarily the amount of snow that causes ice sheets but the fact ~'

not necessarily는 ‘반드시 ~는 아니다’라는 뜻이고, not A but B의 구문이다. 'that snow, however little, lasts'는 fact를 설명하는 절.

 

 

 

“Having an ‘edge’ and surviving are two different things: the first requires the second. 

You need to avoid ruin. At all costs.”

— Nassim Taleb

(유리한 고지에 서는 것과 살아남는 것은 전혀 별개의 문제다.

전자는 후자를 필요로 한다. 파국은 피해야 한다. 무슨 일이 있더라도. - 나심 탈레브)

 

have an edge는 'To have an advantage over someone or something'의 뜻으로, '다른 사람보다 유리하다, 유리한 위치에 서다'라는 뜻. at all costs는 ‘무슨 수를 써서라도, 어떤 희생을 치르더라도’라는 뜻. 

 

'동명사 and 동명사'로 되어 있어서 복잡해보이기는 하지만 줄여보면 A and B are two different things.

Having an ‘edge(유리한 위치에 있는 것)’surviving(살아남는 것) 이 다르다는 것을 말하면서, 유리한 위치에 서려면 우선 살아남기부터 해야 한다는 것. 무슨 수를 써서든 파산해서는 안 된다는 말.

 

 

 

'Hours and hours of boredom punctuated by moments of sheer terror.'

— pilot joke

(지루한 시간이 끝도 없이 계속되다가 간간이 끼어드는 공포의 순간 - 조종사들의 농담)

 

boredom은 '지루함, 따분함'이라는 뜻. punctuate는 '구두점을 찍다'라는 뜻 외에 '간간이 끼어들다'라는 뜻이 있다. sheer는 '완전한, 순전한, 절대적인'이라는 뜻. 

 

'지루한 시간이 끝도 없이 계속되다가 간간이 끼어드는 공포의 순간'이 바로 자신들 조종사들의 직업이라는 이야기. 투자도 마찬가지라는 것. 투자자로서 성공할 수 있느냐를 가름하는 것은 자동주행 모드로 유유히 달리던 수많은 세월이 아니라 간간이 끼어드는 공포의 순간에 보이는 반응.

 

 

“If you’re terrific in this business, you’re right six times out of 10.” 

— Peter Lynch

(당신이 이 업계에서 정말 뛰어난 사람이라면 열 번 중에 여섯 번은 맞는다. – 피터 린치)

 

terrific은 '굉장한, 대단한, 훌륭한'이라는 뜻, six times out of 10은 '10번 중에 6번'이라는 뜻. 정말 실력이 뛰어나다면 열 번 중에 여섯 번을 맞는다는 것. 

 

 

“It’s not whether you’re right or wrong that’s important, 

but how much money you make 

when you’re right and how much you lose when you’re wrong. 

You can be wrong half the time and still make a fortune.” 

— George Soros 

 

(중요한 것은 당신이 맞느냐 틀리냐가 아니라, 옳을 때 얼마를 벌고 틀릴 때 얼마를 잃는가이다.

절반을 틀려도 여전히 큰돈을 벌 수 있다. - 조지 소로스)

 

It’s not whether you’re right or wrong that’s importantbut how much money you make when you’re right and how much you lose when you’re wrong. 

 

상당히 긴 문장이지만 not A but B의 구문으로 정리할 수 있다.

A: whether you’re right or wrong that’s important 

vs.

B: how much money you make when you’re right and how much you lose when you’re wrong. 

 


6장까지 나오는 명언을 정리해봤다. 책을 읽으면서 봐야 좀더 맥락을 잘 이해할 수 있다.

생각보다 술술 읽혀서 머리 아프지 않고 볼 수 있다. 저자가 뛰어난 스토리텔러라는 것을 느낄 수 있을 정도.

 

+ 뇌 사진은 Unsplash에서 저자가 올린 그림. brain으로 검색하다가 이 그림이 나와서 깜짝 놀랐다. :)